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암 TNM 정보

카테고리 없음

by 암 전문가 2025. 9. 25. 01:14

본문

암 TNM 분류 암 진단을 받으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낯선 용어가 있다. 바로 ‘TNM 분류’다. 병원에서 의사가 "T2N1M0입니다"라고 말할 때, 그 속엔 암의 크기, 전이 여부, 림프절 상태까지 핵심 정보가 담겨 있다. 하지만 대다수 환자와 보호자는 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치료를 시작한다. 이 글에서는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은 체계적인 TNM 분류의 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보고자 한다.


암 TNM 의미

암 TNM 암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국제 표준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미국암연합(AJCC)이 공동으로 정리하여 전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분류는 치료 전략을 세우고, 예후를 예측하며 암을 정확히 비교 연구하기 위해 필수적인 지표다.

T (Tumor) 종양 크기 원발암의 크기와 주변 조직 침범 정도
N (Node) 림프절 전이 암이 주변 림프절로 전이되었는지 여부
M (Metastasis) 원격 전이 암이 몸의 다른 부위로 퍼졌는지 여부

종양 크기로 공격성 파악

‘T’는 암이 자라난 원래의 위치에서 얼마나 크고, 깊이 침투했는지를 나타낸다. 통 숫자가 커질수록 종양의 크기나 침윤 범위가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암종에서는 T1에도 세분화가 존재해 T1a, T1b 등으로 나뉘기도 한다.

Tis 상피내암. 주변 조직으로 퍼지지 않은 초기 상태
T1 작고 국한된 종양
T2 중간 크기. 조직 내 침범 존재
T3 큰 종양 또는 인접 구조물 침범 시작
T4 매우 크거나 인접 기관으로 침범된 종양

예를 들어, 유방암에서 T2는 약 2~5cm 크기의 종양을 의미하며 T4는 흉벽이나 피부로 침범했음을 뜻한다.


림프절 상태

림프절은 면역체계의 중심이자 암세포가 가장 먼저 퍼지는 장소 중 하나다. N분류는 종양세포가 어느 정도 림프절로 전이되었는지를 수치로 나타낸다. 숫자가 클수록 림프절 침범이 넓고 많다.

N0 림프절 전이 없음
N1 가까운 림프절에 소수 전이 존재
N2 여러 림프절 또는 크기가 큰 림프절 전이
N3 광범위하거나 반대편 림프절까지 전이됨

예를 들어 위암의 경우, N2는 3~6개의 림프절에서 암세포가 발견된 경우에 해당한다. 이 수치는 수술 범위 결정과 항암치료 계획 수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원격 전이

‘M’은 암세포가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원격 부위, 즉 간, 폐, 뼈, 뇌 등 원래 암이 발생한 곳과는 전혀 다른 장기로 퍼졌는지를 평가하는 항목이다. 이 항목은 치료의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중 하나다.

M0 원격 전이 없음
M1 원격 장기로의 전이 있음

예컨대 폐암에서 M1이면 간이나 뇌 등으로 암이 퍼진 상태다. 이 경우는 수술보다는 항암이나 면역치료 등 전신치료가 우선된다.


암 TNM 코드 해석

암 TNM 이제 이론을 넘어서 실제 환자의 사례처럼 TNM 코드가 어떻게 조합되는지 살펴보자. 이 분류는 단순 조합처럼 보여도 환자의 상태를 명확하게 보여주는 요약표다.

T1N0M0 초기암. 작고 림프절 및 전이 없음
T3N1M0 중등도 진행암. 종양이 크고 림프절 전이 존재, 전이는 없음
T4N3M1 고도 진행암. 종양 크고 림프절 및 원격 장기 전이 있음

이러한 코드 하나로 암의 병기 결정은 물론 치료 가능성과 생존율을 가늠할 수 있다.


암 TNM 조합

암 TNM  많은 사람들이 “3기인가요?” “4기면 말기인가요?”라고 병기만 묻곤 한다. 하지만 그 병기의 기초는 바로 이 TNM 분류에 있다. 각 암종별로 TNM의 조합이 병기(Stage)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위암에서 T2N1M0은 2기로 간주되지만 췌장암에서는 같은 TNM이어도 다른 병기일 수 있다.

0기 TisN0M0
1기 T1N0M0
2기 T2~T3N0~N1M0
3기 T3~T4N1~N3M0
4기 M1 포함된 조합 모두

병기는 치료 전략의 핵심 기준이다. 하지만 같은 병기라도 TNM 세부 조합에 따라 생존율이나 치료 반응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활용 목적

TNM 분류는 의료진만을 위한 코드가 아니다. 환자 스스로 자신의 상태를 이해하고 치료 결정을 주도하는 데 있어 중요한 나침반이 된다. 또한 임상시험 참여 여부, 항암제 반응 예측 등에도 핵심 지표로 사용된다.

진단 병기 설정 및 예후 판단
치료 수술, 방사선, 항암치료 결정
연구 임상시험 대상 선정 및 결과 비교
추적관리 재발 위험 평가 및 모니터링 계획 수립

환자는 진단서에 적힌 TNM 조합을 정확히 이해함으로써 더 주체적인 치료 여정을 시작할 수 있다.


암 TNM 암 진단은 누구에게나 두렵다. 하지만 TNM 분류를 통해 ‘암이 어디까지, 어떻게 퍼졌는지’를 정확히 안다면
두려움을 줄이고,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는 힘이 생긴다. 이제는 ‘모르겠다’ 대신 ‘알고 선택하는 환자’가 되어야 할 때다.
병원 진료실에서 T, N, M이 무엇인지 되묻고 그 의미를 정확히 파악한 뒤 다음 단계를 밟아 나가자.